Level 1 완주하지 못한 선수 문제 풀이 입니다.
링크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3
코딩테스트 연습 - [3차] 방금그곡
방금그곡 라디오를 자주 듣는 네오는 라디오에서 방금 나왔던 음악이 무슨 음악인지 궁금해질 때가 많다. 그럴 때 네오는 다음 포털의 '방금그곡' 서비스를 이용하곤 한다. 방금그곡에서는 TV,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라디오를 자주 듣는 네오는 라디오에서 방금 나왔던 음악이 무슨 음악인지 궁금해질 때가 많다. 그럴 때 네오는 다음 포털의 '방금그곡' 서비스를 이용하곤 한다. 방금그곡에서는 TV, 라디오 등에서 나온 음악에 관해 제목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네오는 자신이 기억한 멜로디를 가지고 방금그곡을 이용해 음악을 찾는다. 그런데 라디오 방송에서는 한 음악을 반복해서 재생할 때도 있어서 네오가 기억하고 있는 멜로디는 음악 끝부분과 처음 부분이 이어서 재생된 멜로디일 수도 있다. 반대로, 한 음악을 중간에 끊을 경우 원본 음악에는 네오가 기억한 멜로디가 들어있다 해도 그 곡이 네오가 들은 곡이 아닐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네오는 기억한 멜로디를 재생 시간과 제공된 악보를 직접 보면서 비교하려고 한다.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할 때 네오가 찾으려는 음악의 제목을 구하여라.
- 방금그곡 서비스에서는 음악 제목, 재생이 시작되고 끝난 시각, 악보를 제공한다.
- 네오가 기억한 멜로디와 악보에 사용되는 음은 C, C#, D, D#, E, F, F#, G, G#, A, A#, B 12개이다.
- 각 음은 1분에 1개씩 재생된다. 음악은 반드시 처음부터 재생되며 음악 길이보다 재생된 시간이 길 때는 음악이 끊김 없이 처음부터 반복해서 재생된다. 음악 길이보다 재생된 시간이 짧을 때는 처음부터 재생 시간만큼만 재생된다.
- 음악이 00:00를 넘겨서까지 재생되는 일은 없다.
- 조건이 일치하는 음악이 여러 개일 때에는 라디오에서 재생된 시간이 제일 긴 음악 제목을 반환한다. 재생된 시간도 같을 경우 먼저 입력된 음악 제목을 반환한다.
- 조건이 일치하는 음악이 없을 때에는 “(None)”을 반환한다.
입력 형식
입력으로 네오가 기억한 멜로디를 담은 문자열 m과 방송된 곡의 정보를 담고 있는 배열 musicinfos가 주어진다.
- m은 음 1개 이상 1439개 이하로 구성되어 있다.
- musicinfos는 100개 이하의 곡 정보를 담고 있는 배열로, 각각의 곡 정보는 음악이 시작한 시각, 끝난 시각, 음악 제목, 악보 정보가 ','로 구분된 문자열이다.
- 음악의 시작 시각과 끝난 시각은 24시간 HH:MM 형식이다.
- 음악 제목은 ',' 이외의 출력 가능한 문자로 표현된 길이 1 이상 64 이하의 문자열이다.
- 악보 정보는 음 1개 이상 1439개 이하로 구성되어 있다.
입출력 예시
"ABCDEFG" | ["12:00,12:14,HELLO,CDEFGAB", "13:00,13:05,WORLD,ABCDEF"] | "HELLO" |
"CC#BCC#BCC#BCC#B" | ["03:00,03:30,FOO,CC#B", "04:00,04:08,BAR,CC#BCC#BCC#B"] | "FOO" |
"ABC" | ["12:00,12:14,HELLO,C#DEFGAB", "13:00,13:05,WORLD,ABCDEF"] | "WORLD" |
✅ 정답 코드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def cal_music_len(music):
result = 0
for m in music:
if m =='#':
pass
else:
result+=1
return result
def restore_melody(music):
melody = []
for i,m in enumerate(music):
if m != '#':
if i != len(music)-1:
if music[i+1] =='#':
melody.append(m+"#")
i+=1
else: #마지막 원소
melody.append(m)
else:
melody.append(m)
return melody
def solution(m, musicinfos):
answer = ''
now_that_songs = []
for info in musicinfos:
info=info.split(",")
start_time=datetime.strptime(info[0],"%H:%M")
end_time=datetime.strptime(info[1],"%H:%M")
play_time = end_time-start_time #재생 시간 : 시 * : 분
play_time = play_time.total_seconds()//60
music_len = cal_music_len(info[3])
listen_times = int(play_time//music_len)
listen_q=int(play_time%music_len)
melody=restore_melody(info[3])
real_play_melody = melody * int(listen_times)
if listen_q>0:
real_play_melody += melody[:listen_q]
song_info = {
"play_time" : int(play_time),
"title" : info[2]
}
for i,melody in enumerate(real_play_melody):
if m == "".join(real_play_melody[i:cal_music_len(m)+i]):
now_that_songs.append(song_info)
break
if len(now_that_songs) > 1:
now_that_songs=sorted(now_that_songs, key=lambda song:(-song["play_time"]))
if now_that_songs:
return now_that_songs[0]["title"]
else:
return "(None)"
📌해설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풉니다
C, C#, D, D#, E, E#, F, F#, G, G#, A, A#, B, B# 등의 음이 있는데 이 음을 처리 하는 방식에 따라 풀이 방법이 차이가 납니다
1. 토큰으로 만들기C#, D#, E#, F#, G#, A#, B# 등을 한개의 문자로 받을 수 있도록 토큰화 합니다.2. 다른 문자로 치환하기
C#, D#, E#, F#, G#, A#, B# 등을 한개의 문자로 받을 수 있도록 소문자 c, d, e, f, g, a, b로 치환합니다.
저는 토큰으로 만드는 방법을 선택해서 문제를 풀어봤습니다!
🚩주의
- 각 음은 1분에 1개씩 재생된다. 음악은 반드시 처음부터 재생되며 음악 길이보다 재생된 시간이 길 때는 음악이 끊김 없이 처음부터 반복해서 재생된다. 음악 길이보다 재생된 시간이 짧을 때는 처음부터 재생 시간만큼만 재생된다.
- 조건이 일치하는 음악이 여러 개일 때에는 라디오에서 재생된 시간이 제일 긴 음악 제목을 반환한다. 재생된 시간도 같을 경우 먼저 입력된 음악 제목을 반환한다.
크게 주의해야 할 점은 위 두 가지 입니다.
예를들어
악보가 "AB#C"일때 재생시간이 00:00 - 00:02 이면 네오가 들은 멜로디는 "AB#"입니다.
만약 musinifos에서 받은 음악이 00:00 - 00:01 "AB#C"이면 이 곡은 "A"로 재생되었기 때문에 악보가 같더라도
네오가 방금 들은 그 곡에는 해당 되지 않습니다.
만약 musicinfos에서 받은 음악이 00:00 - 00:09 "AB#C" 라는 'ASONG'과
00:00-00:06 "AB#C"라는 'BSONG'이 있다면 두 곡 모두 반환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지만 재생 시간이 더 긴
'ASONG'을 반환합니다
만약 musicinfos 에서 받은 음악이 00:00 - 00:09 "AB#C" 라는 'ASONG'과 00:00-00:06 "AB#C"라는 'BSONG',
00:00-00:09 "AB#C" 라는 'CSONG'이 있다면 'ASONG' 과 'CSONG'이 재생시간이 동일 하므로 먼저 입력된
'ASONG'을 반환합니다.
def restore_melody(music):
melody = []
for i,m in enumerate(music):
if m != '#':
if i != len(music)-1:
if music[i+1] =='#':
melody.append(m+"#")
i+=1
else: #마지막 원소
melody.append(m)
else:
melody.append(m)
return melody
1. 문자열 타입의 음악을 받아 토큰으로 만들어서 melody에 저장합니다. melody 에는 토큰화 된 음악이 저장 되고 반환 됩니다.
def cal_music_len(music):
result = 0
for m in music:
if m =='#':
pass
else:
result+=1
return result
2. 문자열 타입의 음악을 받아 '#'은 건너 뛰고 글자수를 세서
토큰화된 음악의 길이를 구합니다. result에 저장하여 반환합니다.
def solution(m, musicinfos):
answer = ''
now_that_songs = []
for info in musicinfos:
info=info.split(",")
start_time=datetime.strptime(info[0],"%H:%M")
end_time=datetime.strptime(info[1],"%H:%M")
play_time = end_time-start_time #재생 시간 : 시 * : 분
play_time = play_time.total_seconds()//60
music_len = cal_music_len(info[3])
listen_times = int(play_time//music_len)
listen_q=int(play_time%music_len)
melody=restore_melody(info[3])
real_play_melody = melody * int(listen_times)
if listen_q>0:
real_play_melody += melody[:listen_q]
song_info = {
"play_time" : int(play_time),
"title" : info[2]
}
for i,melody in enumerate(real_play_melody):
if m == "".join(real_play_melody[i:cal_music_len(m)+i]):
now_that_songs.append(song_info)
break
if len(now_that_songs) > 1:
now_that_songs=sorted(now_that_songs, key=lambda song:(-song["play_time"]))
if now_that_songs:
return now_that_songs[0]["title"]
else:
return "(None)"
3. solution을 작성합니다. now_that_songs에 넣을 곡들을 찾습니다.
3-1. now_that_songs = [] 에는 방금그곡을 모두 저장할 list변수 입니다.
4. musicinfos를 모두 조회하는 for 문을 작성합니다.
4-1. 각 info를 split 하여 시작시간, 종료시간을 strptime()을 통해 parse해줍니다.
4-2. datetime 타입인 start_time, end_time은 '-' 연산을 통해 걸린 시간을 알 수 있습니다. play_time에 저장합니다.
4-3. play_time 은 timedelta 타입이고 total_seconds()을 통해 초 단위로 변경 할 수 있습니다.
4-4. 60으로 나눠 분 단위로 변경합니다. 음악이 재생된 시간(분)을 play_time에 업데이트 해줍니다
5. cal_music_len()을 통해 info에서 알려준 악보의 길이를 music_len에 저장합니다.
5-1. 재생시간을 악보길이로 나눈 몫을 들은 횟수(listen_times)로 저장합니다.
5-2. 재생시간을 악보길이로 나눈 나머지를 listen_q로 저장합니다.
6. restore_melody()를 통해 악보를 토큰화 시킵니다. 토큰을 melody에 저장합니다
6-1. 실제 재생된 멜로디를 알아내기 위해 listen_times, listen_q를 사용하여 real_play_melody를 구합니다.
6-2. 토큰화된 악보 melody를 listen_times로 곱해서 real_play_melody에 저장합니다.
6-3. 토큰화된 악보 melody를 listen_q만큼 슬라이스 하여 real_play_melody를 업데이트 합니다.
7. song_info dictionary를 선언하고 play_time과 곡 제목(info[2])를 저장합니다.
8. real_play_melody를 모두 조회하는 for문을 작성합니다. enumerate를 통해 index를 조회하도록 합니다.
8-1. 네오가 들은 멜로디 m와 real_play_melody[i:cal_music_len(m)+i]를 비교합니다.
8-2. real_play_melody에서 네오가 들은 멜로디의 길이만큼 i(0, 1, 2, ... len(real_play_melody))로 옮기며 for문이 조회됩니다.
8-3. 일치하는 멜로디가 있다면 now_that_songs에 append(song_info)를 합니다. for 문을 종료합니다.
9. now_that_songs의 길이가 2이상이면(방금 그 곡이 2곡 이상이면) play_time을 기준으로 sort합니다.
10. 정렬된 now_that_songs에 원소가 존재하면 첫번째 곡 제목을 반환한다
10-1. 원소가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으면 "(None)"을 반환한다.
::
사소한 곳에서 실수를 해서 몇일 걸렸던 문제 였어요 ㅠㅠㅋㅋ
lv2 풀면서 코테 준비하기 화이팅!
'✅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백준 2667번 단지번호붙이기 (0) | 2021.09.06 |
---|---|
BOJ-백준11724번 연결 요소의 개수 (0) | 2021.09.05 |
BOJ-백준1012번 유기농 배추 Python (0) | 2021.09.05 |
BOJ-백준2606번 바이러스 (0) | 2021.07.17 |
프로그래머스-완주하지 못한 선수 파이썬 python (0) | 2021.07.09 |